개발의변화
5-2 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본문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컨트롤 플레인+데이터 플레인 =>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제어,관리
안정성 속도 보안 등을 소프트웨어로 제어, 네트워크의 세부 구성정보에 얽매이지 않고 요구사항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및 관리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스마트 그리드와 연계하여 전기 수도 가스 등 공급자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게 해주는 기술
스마트 그리드
전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서비스 제공, 에너지효율을 극대화
Zigbee
근거리 통신 지원하는 IE802 사용하여 저전력, 저속, 저비용의 근거리 무선통신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Iot 장치, 텔레메트리 장치 등에서 최적화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토콜, 브로커를 사용한 발행/구독 방식의 경량 메시지 사용
블루투스
피코넷: Master-Slave 방식으로 링크 설정
스케터넷: 피코넷이 여러 개모여서 계층적이고 규모가 큰 네트워크 구성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사물에 전자태그 부착하고 주변 정보 및 사물 정보 감지하는 센서기술)의 확장 기술 저전력,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
Zing
기기를 키오스크에 갖다 대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는 기술, 10cm 근접 거리에서 기가급 속도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근접 ㅜ무선통신 기술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것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기존 무선 램의 한계 극복을 위해 나타난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특수목적(공공 안전,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
다른 국을 향하는 호출이 직접 접속되게 하는 그물 모양 네트워크
통신량이 많은 소수의 국이 경제적이고 간편 / 다수의 국은 회선 세분화 비경제적
행사장이나 군에서 많이 사용함
네트워크 설치 구조
버스형 구조
하나의 네트워크 회선에 여러 대의 노드가 멀티 포인트로 연결된 구조
트리형 구조
각 노드가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형태 나뭇가지가 사방으로 뻗어 있는 느낌
링형 구조
모든 노드가 하나의 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
성(Star)형구조
각 단말 노드가 허브에 점 대 점으로 연결되어 잇는 구성 형태
라우팅 프로토콜
RIP: AS,거리 벡터 알고리즘, 내부 라우팅, 벨만 포드, 최대 홉 15개, UDP
OSPF: RIP 개선, 링크 상태 라우팅 메트릭(Metric), 다익스트라, AS를 지역으로 나누어 라우팅, 홉 카운트 제한 X
BGP: 외부 라우팅, AS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만듦, 경로 벡터(Path Vector)알고리즘,ISP사업자
광전송 장비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고속 디지털 통신을 위한 광전송 시스템 북미 표준 규격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북미 표준을 국제 표준으로 바꿈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신호 동시에 이용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해 파장 대역 채널을 조밀하게 나눔 ,수십수백개 파장
CET(Carrier Ethernet Transport): 광역통신망에서 고속으로 데이터 전달하고 교환하는 차세대 패킷 전송
BaaS(Blockchain as a service)
BaaS는 블록체인 개발환경을 클라우드로 서비스하는 개념
소프트웨어 관련 신기술
디지털 트윈
물리적인 사물과 가상모델로 실쩨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사화함으로 효율성,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모델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표현층, 비즈니스 층, 프로세스 층
TensorFlow
구글 브레인 팀이 제작하여 공개된 기계 학습을 위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Paas-Ta
국내 IT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개발 인프라 제어 및 많은 환경으로 구성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Mashup
웹으로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만드는 기술
OWASP
오픈 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로 주로 웹을 통하 정보 유츨, 악성 파일 및 스크립트, 보얀 취약점 연구
Seven TouchPoints
SDLC에 통합한 소프ㄹ트웨어 개발 보안 생명주기 방법론
SDDC(Software-defined Data Center)
SDDC는 모든 하드웨어가 가상화되어 가상 자원의 풀을 구성하고 인력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제어 관리
구성요소
SDC(computing,SDN(network),SDS(storage),프로비저닝
인프라 관련 신기술
도커: 컨테이너 응용 프로그램의 배포를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엔진
엔 스크린: 하나의 멀티미더 콘텐츠를 N개의 기기에서 '연속적으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
보안 관련 인프라 기술
서비스형보안(SECaaS)
기업의 비용과 시간, 인력에 대한 리소스 투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크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전문화된 보안 기능을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
클라우드 접근 보안 중개 서비스(CASB: Cloud Access Security Broker):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접근통제, 암호화,로딩 등 중개시스템(Broker)
저장 장치(스토리지 시스템)
DAS(Direct Attached Storage)
DAS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식
SAN(Storage Area Network)
서버와 스토리지를 저장 장치 전용 네트워크로 상호구성하여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관리하는 기술
HACMP(High Availability Cluster Multi-Processing)
2대 이상의 시스템을 1개의 클러스터로 묶어서 각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메인 시스템의 장애 발생 시 서브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시스템 중단을 최소화
'정보처리기사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4 시스템 보안 구축 (0) | 2023.05.06 |
---|---|
5-3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0) | 2023.05.06 |
5-1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활용 (0) | 2023.05.05 |
4-3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운영체제) (1) | 2023.05.05 |
4-2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