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64)
개발의변화

디자인 패턴 유형 - 목적 생성: 객체 인스턴스 생성에 관여, 클래스 정의와 객체 생성 방식을 구조화, 캡슐화를 수행하는 패턴 구조: 더 큰 구조 형성 목적으로 클래스나 객체의 조합을 다루는 패턴 행위: 클래스나 객체들이 상호 작용하는 방법과 역할 분담을 다루는 패턴 - 범위 클래스: 클래스 간 관련성, 컴파일 타임에 정적으로 결정 객체: 객체 간 관련성을 다루는 패턴, 런타임에 동적으로 결정 디자인 패턴 종류 -생성 Builder :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과정)과 객체를 구현(표현)하는 방법을 분리함으로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만들 수 있는 패턴 Prototype: 처음부터 일반적인 원형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복사한 후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여 사용하는 패턴 Factory Meth..
소프트웨어 생명주기(SDLC;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는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 1. 폭포수 모델 소프트웨어 개발 시 각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모델 2. 프로토타이핑 모델 고객이 요구한 주요 기능을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모델 3. 나선형 모델 시스템 개발 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완벽한 시스템으로 개발해나가는 모델 4. 반복적 모델 구축대상을 나누어 병렬적으로 개발 후 통합하거나, 반복적으로 개발하여 점증 완성시키는 SDLC모델 애자일 방법론 절차보다는 사람이 중심이 되어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응하면서 효율적으로 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DLC) -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 - 시스템이 개발될 떄부터 운용과 유지보수를 거쳐 생애를 마칠 때까지 어떠한 순서를 밟는지에 대한 작업 프로세스 모델화 1. 요구사항 분석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상충할 수도 있는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변경된 제품에 부합하는 요구와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2. 설계 시스템 명세 단계에서 정의한 기능을 실제 수행할 수 있도록 수행 방법을 논리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3. 구현 문제 해결 방법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실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4. 테스트 시스템이 정해진 요구를 만족하는지, 예상과 실제 결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사하고 평가하는 단계 (단위 테스트, 통합,시스템, 인수,) 5..
xx.jsp-> xxx_jsp.java => xxx_jsp.class=> xxx_jsp.obj(자바 환경에서 나온 결과물을 동작) => HTML 웹 컨테이너 => WAS(web application server) (웹컨테이너(Tomcat)) : 기계가 개발자 코드 이해하게 만듬 Web폴더가 Webcontainer역할이라고 보면 됨 루트폴더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jsp 파일 생성 -> jsp는 웹컨테이너에 포함되므로 webcontent폴더에 넣음 $END$ Servlet으로 넘어갑니다. 동적인 파일일 때 이 파일 이 어떤지 지시어다 맨위에 실제로 서버에서 구동하는 법 런버튼 클릭 톰캣서버 7부턴가 8부터 코드가 수정되면 조금 시간 지나면 바뀜 servlet 웹 컨테이너에서 컴파일 해서 response로 ..
프로시저 반복 => DECLARE i INT DEFAULT 1; WHILE i
database-> reverse engineer forward engineer (테이블 타입이 지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오류는 MySQL 서버를 시작하는 중에 발생한 문제를 나타냅니다. 보통 이러한 오류는 MySQL 구성 파일 또는 데이터 디렉터리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몇 가지 가능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 디렉터리 또는 파일 권한 문제: MySQL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특정 디렉터리와 파일에 액세스해야 합니다. 디렉터리 또는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을 확인하여 MySQL 프로세스가 액세스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디렉터리와 파일의 권한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bashCopy code sudo chown -R _mysql:_mysql /opt/homebrew/var/mysql sudo chmod -R 755 /opt/homebrew/var/mysq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