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64)
개발의변화
# 대칭키 방식 하나의 키로 암/복호화를 수행 대칭키가 노출되는 경우 암호화된 내용을 복호화할 수 있게됨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생하게 공개키 방식 # 공개키 / 개인키 방식 공개키, 개인키 두 개의 키를 이용해 암/복호화하는 방식 # 공개키 공개되어도 안전한 key 공개키로 암호화시 데이터 보안에 중점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면, 개인키로 데이터를 복호화해야 한다 #개인키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키로 외부에 노출되어서는 안됨 개인키로 암호화시 인증 과정에 중점을 두게 됨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면 공개키도 함계 전달함 PKI 공개키 기반 구조: 공개키 암호화와 전자서명을 사용할 수 있게 기반 마련해두는것 CA(Certificate Authority)공인 인증기관 SSL: SSL 인증서..
1. 데이터 마트 데이터 웨어하우스: 급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효ㅛ과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하고 이를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웨어하우스 2. 로킹 로킹 기법이란 트랜잭션이 사용하는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잠금을 설정한 트랜잭션이 해제할 때까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상호배제 기능을 제공하는 기법이다. 3. iot 관련 프로토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IoT 장치, 텔레메트리 장치 등에서 최적화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토콜 4. INSERT INTO 학생 (학번,성명,과목,전화번호) VALUES (202101,'임꺽정','프로그래밍','010-1234-5678',) 5. CSMA/CD: 유선 LAN의 반이중방식(H..
1. UWB 중심 주파수의 20%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 , 500MHz이상의 대역폭의 신호와 수 GHz대의 초광대역을 사용하는 초고속의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 2. 킬 스위치(Kill Switch) 도난당한 스마트폰의 작동을 웹사이트를 통해 정지할 수 있는 일종의 자폭 기능 3. 검증(Verification), 확인(Validation) 검증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테스트 올바른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지 검증 확인 소프트웨어 결과를 테스트 만들어진 제품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 4. 자료사전: 자료 요소, 자료 요소들의 집합, 자료의 흐름, 자료 저장소의 의미와 그들 간의 관계, 관계 값, 범위, 단위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사전 5. 집계 함수는 NULL인 값을 제외하고 계산한다 7. 지식 ..
1.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프로세스 수행을 지원하는 정보 시스템 구현 가장 선진화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서비스로 정의된 애플리케이션 조각들을 Loosely-coupled하여 하나의 완성된 application 구현 2. PICONET(피코넷)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마스터-슬레이브 구조 Zigbee(지그비)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기술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전등 제어 및 홈 보안 시스템 할 수 있음 3. 세션 하이재킹 케빈 미트닉 -> TCP의 세션 관리 취약점 이용한 방법 비동기화 상태 탐지, ACK 패킷 비율 모니터링, 특정 세션에서 패킷 유실 및 ..
응집도: 우연적 응집도(Coinicidental Cohesion): 모듈 내부의 각 구성요소가 연관이 없을 경우의 응집도 논리적 응집도(Logical Cohesion):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시간적 응집도(Temporal Cohesion): 연관된 기능이라기보다는 특정 시간에 처리되어야 하는 활동들을 한 모듈에서 처리할 경우의 응집도 절차적 응집도(Procedural Cohesion):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떄 모듈 안의 구성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의 응집도 순차적 응집도(Sequenctial Cohesion): 모듈 내에서 한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값을 다른 활동이 사용할 경우의 응집도 기능적 응집도(Funtional Cohesion): 모듈 내부..
트랜잭션 특성 1. 원자성(Atomicity):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연산 전체가 모두 정상적으로 실행되거나 모두 취소되어야 하는 성질 2. 일관성(Consistency):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고정요소는 트랜잭션 수행 전과 트랜잭션 수행 완료 후의 상태가 같아야 하는 성질 3. 격리성(isolation):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는 성질 4. 영속성(durability): 성공이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속적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야 하는 성질 롤백: 오류가 발생했을 때, 오류 이전의 시점(SAVEPOINT, CHECKPOINT) 상태로 되돌려주는 제어어 커밋: 트랜잭션을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제어어 체크포인트: ROLLBACK을 위한 시점을 지정하는 제..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JSON은 속성- 값(Attribute - Value Pair) 쌍 또는 "키 - 값 쌍" 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에서 많이 사용되고 XML(eXtensible Markup Langauage)을 대체하는 주요 데이터 포맷 XML(Extensible Markup Lanaguage) XML은 HTML의 단점을 보완한 인터넷 언어로, SGML의 복잡한 단점을 개선한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 XML은 송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 연계의 편의성을 위해서 전송되는 데이터 구조를 동일한 형..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이다.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EAI 구축 유형 포인트 투 포인트 :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방법으로 1:1 단순 통합방법 허브 앤 스포크: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메시지 버스: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를 두어 연계하는 미들웨어 통합 방식 하이브리드: 그룹 내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사용하고, 그룹 간에는 메시지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통합 방식 웹 서비스 개념 네트워크에 분산된 ..